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투자211

세계경제 전망, 아시아 신흥국 연평균 5~6% 경제 성장률 전망(IMF) 주말인지라 국제통화기금(IMF)에서 발간한 방대한 전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를 보다 보니 2027년까지 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Projection)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아서 간단히 정리해 봅니다. 2022년과 2021년 세계경제 전망 보고서를 비교해 보니 급격하고 우연한 시기에 발생한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및 여전히 끝나지 않은 코로나 이슈로 인해 일부 국가의 경우 향후 잠재 성장률 자체를 대폭 낮춰 잡거나 수정이 가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 2022년 전 세계 경제 성장률은 기존 전망보다 0.8% 하향 조정으로 낮춰 잡았습니다. 2023년은 0.2% 포인트 하향 조정으로 +3.6%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01. 선진국 경제 상승률 전망 2022년 : .. 2022. 7. 9.
MSCI 지수란? 한국 선진국 지수 편입 기대효과는? (ft. MSCI 지수 ETF 소개) 이번 글에서는 MSCI 지수의 개념, 구성 및 지수에 포함되는 국가와 그 분류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본문 말이에는 MSCI 지수에 투자할 수 있는 ETF 상품 또한 소개하고 있습니다. MSCI 지수는 전 세계 개별 국가의 주식 시장에 상장된 대형주, 중형주를 가지고 선진국, 신흥국,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해 지수를 만들어 제공하고 있습니다. MSCI 지수는 각국 정부, 금융기관, 자산운용사, 개인 투자자들이 많이 참고하는 이유는 전 세계 주식 시장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주기 때문에 입니다. 특히 각종 금융 기관 및 자산운용사를 비롯해 많은 기관 투자자들은 이 MSCI 지수를 벤치마크(Benchmark) 삼아 시장 평균 대비 얼마큼의 투자 수익률과 운용 성과를 냈는지 평가할 때 그 기준점.. 2022. 7. 8.
세계 1인당 GDP 순위 및 국가별 국민소득 증감 추이 (1990년~2021년) 1990년에서 2021년까지 전 세계 국가별 1인당 국민소득 GDP 순위 및 국가별 소득 수준이 장기적으로 어떻게 변해왔는지 알수 있습니다. 국민소득 가장 높은 나라 순위 Top 10 2021년 기준 전세계 1인당 국민소득(GDP)가 가장 높은 국가는 인구 63만의 소국(小國) 룩셈부르크입니다. 1인당 연간 소득이 자그만치 136,701달러네요. 환율 1,200원을 적용해 계산해 보면룩셈부르크 국민 1인당 약 1억6천4백 만원의 연간 소득을 올리고 있는 셈입니다. 이 나라는 1990년대 이후 30년째 연속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 2위 부터 10위까지 순위를 살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주식공부] - 5백만원으로 1천억을 만든 쿨라매기 주식투자 매매기법 소개 5백만원으로 1천억을 .. 2022. 7. 7.
지난 60년간 국제곡물 가격 변화 추이 (쌀, 밀, 콩, 옥수수, 수수, 보리, 땅콩) 지난 60년간 전 세계 곡물 가격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해 봤습니다. 곡물에는 쌀, 밀을 기본으로 해 잡곡(땅콩, 옥수수, 수수, 보리, 땅콩)을 포함한 것입니다. 최근 전세계적인 식량 안보위협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궁금하기도 해서 자료를 취합 정리해 보존판으로 정리해 봅니다. (* 가공 자료 출처는 월드뱅크입니다.) 들어가기 전에 이 글 본문에서는 곡물별 선물 차트와 현물 가격 동향 그래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외부 사이트에서 불러오는 관계로 조금 느릴수 있습니다. 1. 곡물 선물 차트 본문에는 TradingView에서 제공하는 곡물(쌀, 옥수수, 대두, 밀) 종류별 선물 차트(10분 딜레이) 함께 포함해 두었습니다. 2. 곡물 현물 가격 동향 그래프 곡물별 톤당 현물 가.. 2022. 7. 6.
네이버 주가 하락엔 이유가 없다? 기본+기술적 분석으로 본 네이버 주가전망! 이번 포스팅은 국내 포털 1위 기업인 네이버를 다면적으로 분석해 봅니다. 가능한 다면적 분석을 위해 여러 가지 지표를 통해 네이버의 가치를 비교 평가해 봅니다. 펀더멘털에서 주가 수익성 분석, 그리고 마지막으로 네이버 주가 차트 기술 분석을 합니다. 이런 대세 하락장에서는 네이버 주가 하락 이유를 굳이 어떤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 하고 걱정 할 필요가 없습니다. 전체 시장이 하락하고 있기 때문에, 한 두 종목을 빼고는 90% 이상의 종목이 하락합니다. 그러므로 네이버 기업의 본질적 가치가 훼손된 탓이 아니니 보유자는 견뎌야 하는 구간이라 판단됩니다. 현재 외국인과 기관들의 연일 계속된 매도 탓에 생각보다 더 빠지자만, 네이버는 상장 이후 지금까지 2번의 -50% 이상 하락을 경험했습니다. 이번에는 조금 .. 2022. 7. 5.
빅맥지수로 알아보는 적정 환율 및 구매력평가지수(BMI), 전세계 57개국 빅맥 지수 랭킹 순위(2022) 이번 포스팅은 이코노미스트에서 매년 발표하는 전세계 빅맥 가격 및 빅맥지수를 활용해 어떻게 적정 환율을 분석하고 또 국가간 물가수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구매력평가지수(BMI)를 어떻게 투자에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합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에까지 치솟고 있다보니 매일 매일 환율 동향에 신경을 쓰고있는데요. 해서 오늘은 대표적인 구매력평가지수로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빅맥지수에 대해 알아 봅니다. 원래 구매력평가 지수는 환율의 장기적 추세를 확인할 때 주로 많이 찾아보는 지표입니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맥도날드 빅맥지수란 무엇이며, 어떤 가치 활용이 가능한지에 대해 상세히 알아 본 뒤, 본문 말미에서 이코노미스트에서 올해 초에 발표한 국가별 빅맥지수 랭킹 순위를 목록으로 보.. 2022. 7. 2.
2020년~2100년, 세계 인구수 증가 추이 및 국가별 인구 순위 전망 [UN인구통계자료 활용] 이 글은 UN에서 발간한 전세계 인구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2020년부터 2100년까지 전 세계 인구 증가 속도와 국가별 인구 및 순위를 자세히 알아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2050년에 전 세계 인구가 약 100억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인구 증가의 87%는 신흥국으로부터 나옵니다. 요약하면 앞으로의 다양한 사업 및 투자 기회는 선진국보다는 이들 신흥국에 더 많음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인도는 2025년경부터 중국을 추월해 세계 1위 인구 대국이 될 전망입니다. 유럽 주요 국가를 비롯해 선진국은 미국을 빼고는 지속적인 인구 감소를 경험하지만, 그 반대로 아프리카 및 동아시아의 신흥국을 중심으로 인구는 지속적이고 가파르게 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 세계 인구 증가 전망 추이를.. 2022. 6. 30.
반응형